중요하고 자주 사용하는 설정들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고 중요한 설정 파일 목록 (K8s 포함)
쿠버네티스(K8s) 환경에서 특히 자주 보게 되는 리눅스 기본 설정 파일과 네트워크 관련 설정 파일을 사용 빈도와 중요도 순으로 정리했습니다.
1. /etc/hosts
- 용도: 호스트명과 IP 주소를 수동으로 매핑
- K8s에서: 내부 테스트, DNS 문제 시 임시 호스트명 매핑
- 예시
127.0.0.1 localhost
192.168.0.10 master-node
192.168.0.11 worker-node-1
- 명령어 참고
cat /etc/hosts
sudo nano /etc/hosts
2. /etc/resolv.conf
- 용도: DNS 서버 설정
- K8s에서: CoreDNS 설정 확인, DNS 장애 트러블슈팅 시 필수
- 예시
nameserver 8.8.8.8
nameserver 1.1.1.1
search cluster.local
- 명령어 참고
cat /etc/resolv.conf
3. /etc/hostname
- 용도: 서버의 호스트명 지정
- K8s에서: 노드명 변경 시 참고
- 예시
master-node
- 명령어 참고
hostname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new-name
4. /etc/fstab
- 용도: 부팅 시 자동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 정의
- K8s에서: PV(Local Path, NFS 등) 사용 시 마운트 설정 확인
- 예시
UUID=xxxx-xxxx /data ext4 defaults 0 2
- 명령어 참고
cat /etc/fstab
5. /etc/systemd/system/
- 용도: 사용자 정의 systemd 서비스 파일
- K8s에서: kubelet, containerd 등 서비스 설정
- 예시
/etc/systemd/system/kubelet.service.d/10-kubeadm.conf
- 명령어 참고
systemctl status kubelet
6. /etc/sysctl.conf & /etc/sysctl.d/
- 용도: 커널 파라미터 설정
- K8s에서: 네트워크 패킷 포워딩, 브리지 관련 설정 필수
- 예시
net.ipv4.ip_forward=1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1
- 명령어 참고
sysctl -a
sudo sysctl --system
7. /etc/security/limits.conf
- 용도: 프로세스별 리소스 제한
- K8s에서: etcd, Elasticsearch 등 메모리/파일 핸들 제한 설정
- 예시
* soft nofile 65535
* hard nofile 65535
8. /etc/profile & ~/.bashrc
- 용도: 환경 변수 설정
- K8s에서: PATH, alias, kubeconfig 경로 설정
- 예시
export KUBECONFIG=/etc/kubernetes/admin.conf
alias k=kubectl
9. /etc/network/interfaces 또는 /etc/netplan/
- 용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설정
- K8s에서: 노드 고정 IP 지정
- 예시 (netplan)
network:
ethernets:
eth0:
addresses: [192.168.0.10/24]
gateway4: 192.168.0.1
nameservers:
addresses: [8.8.8.8, 1.1.1.1]
version: 2
10. /etc/ssh/sshd_config
- 용도: SSH 서버 설정
- K8s에서: 노드 원격 접속 보안 설정
- 예시
Port 22
PermitRootLogin no
PasswordAuthentication no
11. /var/log/syslog & /var/log/messages
- 용도: 시스템 로그
- K8s에서: 네트워크/DNS 문제, kubelet 오류 확인
- 명령어 참고
tail -f /var/log/syslog
journalctl -u kubelet -f
12. /etc/modules-load.d/
- 용도: 부팅 시 로드할 커널 모듈 지정
- K8s에서:
br_netfilter
,overlay
필수 - 예시
overlay
br_netfilter
13. /etc/containerd/config.toml
- 용도: containerd 설정
- K8s에서:
SystemdCgroup = true
설정 필요 - 명령어 참고
sudo systemctl restart containerd
14. /etc/kubernetes/
- 용도: K8s 마스터 노드 설정 파일
- 예시
/etc/kubernetes/admin.conf
/etc/kubernetes/manifests/kube-apiserver.yaml
15. /etc/crontab & /etc/cron.*
- 용도: 주기적 작업 예약
- K8s에서: 백업, 로그 정리 등
- 예시
0 2 * * * root /usr/local/bin/backup.sh
참고
이 목록은 K8s 홈랩 환경과 운영 리눅스 서버 모두에서 중요한 파일 위주로 선정했습니다.